여행.맛집

김장의 유래,김장의 역사, 김장시기,김치의 종류,절인배추란?,김치 담그는법

지식광장 2024. 11. 10. 13:20
728x90
반응형
SMALL

찬바람이 불면서 겨울을 대비한 음식을 준비해야할 때입니다.
겨울에는 밥해먹을 쌀과  최소한 이것만 있어도 겨울을 넘기는데 문제 없습니다.
이것은 바로 " 김장 김치"입니다.


김장은 우리의 전통적인 김치 담그기 문화로, 그 유래와 역사, 시기, 종류, 절인 배추, 그리고 김치 담그는 법,김장김치 보관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김장김치


김장의 유래,김장의 역사, 김장시기,김치의 종류,절인배추란?,김치 담그는법,김장김치 보관방법


◆김장의 유래와 역사
 1)유래: 김장은 조선시대부터 시작된 것으로, 겨울철에 김치를 저장하기 위해 대량으로 담그는 전통입니다. 이는 농업 사회에서 겨울철 식량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으로 발전하였습니다.
 2)역사: 김장은 2013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한국의 전통적인 식문화와 공동체의 협력 정신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김장 시기
 1)시기: 김장은 보통 11월 중순부터 12월 초까지 진행됩니다. 이 시기는 기온이 낮아 김치가 잘 발효되기 때문입니다. 특히, 11월 11일을 기점으로 김장을 시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기온: 김장을 할 때의 기온은 6~7도 정도가 적합하며, 이때부터 1개월 정도 숙성시키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김치의 종류
 - 종류: 김치는 배추김치, 무김치, 오이소박이, 깍두기 등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각 지역마다 특색 있는 김치가 존재하며, 재료와 양념에 따라 맛이 달라집니다.


◆절인 배추란?
 - 절인 배추: 김장을 위해 배추를 소금에 절여 수분을 빼고, 발효를 촉진시키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은 배추의 아삭한 식감을 유지하고, 김치의 맛을 깊게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김치 담그는 법
 - 재료 준비: 배추, 고춧가루, 마늘, 생강, 새우젓, 설탕, 소금 등을 준비합니다.
 - 절이기: 배추를 소금물에 절여 2~3시간 정도 두어 수분을 빼고, 그 후 깨끗이 헹굽니다.
 - 양념 만들기: 고춧가루, 다진 마늘, 생강, 새우젓, 설탕 등을 섞어 양념을 만듭니다.
 - 버무리기: 절인 배추에 양념을 고루 버무리고, 용기에 담아 발효시킵니다.

김장김치



◆김장김치 보관 방법

1. 적정 온도 유지
  - 냉장 보관: 배추김치는 0~5도에서 보관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여름철에는 온도가 높아지므로 냉장고 온도를 낮추는 것이 필요합니다.
  - 김치냉장고: 김치냉장고가 있다면, 김치의 종류에 따라 온도를 조절하여 보관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염도가 높은 김치는 낮은 온도에서 보관하고, 국물이 많은 김치는 조금 높은 온도에서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2. 보관 용기 선택
 - 김장용 비닐: 일반 비닐이 아닌 김장용 비닐을 사용하여 김치를 차곡차곡 넣고, 최대한 공기를 빼고 묶어서 보관합니다. 이렇게 하면 김치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 밀폐 용기: 김치 위에 공기와 접촉을 막기 위해 우거지나 비닐, 밀폐용기를 덮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큰 용기에 담을 경우 김치가 눌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3. 숙성 과정
 - 숙성 후 보관: 배추김치와 갓김치는 냉장고에 보관하기 전에 하루 정도 숙성시켜 유산균이 충분히 생성되도록 합니다. 이는 곰팡이 발생을 막는 데 도움이 됩니다.
 - 동치미: 동치미는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보름 정도 숙성한 후 냉장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4. 추가 팁
 - 아이스팩 사용: 김치냉장고가 없다면, 일반 냉장고에 김치통을 넣고 주위에 아이스팩을 놓아 비슷한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김치의 종류에 따른 보관: 물김치, 배추김치, 무김치 순으로 보관하는 것이 좋으며, 냉기가 고르게 유지되는 아래쪽에 두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결론
김장은 우리의 전통적인 식문화로, 그 유래와 역사, 시기, 다양한 김치 종류, 절인 배추의 의미, 그리고 김치 담그는 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김장은 단순한 음식 준비가 아니라, 가족과 이웃이 함께 모여 나누는 소중한 문화입니다. 이러한 전통을 이어가는 것은 우리의 정체성을 지키는 중요한 일입니다.

 

지금까지

김장의 유래,김장의 역사, 김장시기,김치의 종류,절인배추란?,김치 담그는법,김장김치보관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