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지식

윤석렬대통령의 비상계엄의 의미, 발동 주체, 비상계엄해제요구,대처 방법

by 지식광장 2024. 12. 3.
728x90
반응형
SMALL

 

윤석렬대통령이 저녁에  긴급하게  기습적으로 " 비상계엄"을 선포했습니다ㅠㅠ

비상계엄은 국가의 안전과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정부가 특정한 상황에서 발동하는 특별한 법적 조치로서  이 조치는 일반적으로 전쟁, 내란, 대규모 폭동 등으로 인해 국가의 안전이 위협받을 때 시행됩니다. 

아래에서 윤석렬대통령의 비상계엄의 의미, 발동 주체, 비상계엄해제요구,대처 방법 등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비상계엄의 의미
- 정의: 비상계엄은 국가의 안전과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정부가 발동하는 특별한 법적 조치로, 
일반적인 법률이 아닌 특별한 법률에 따라 시행되고 이 조치는 국가의 안전을 위협하는 상황에서 국민의 기본권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목적: 비상계엄의 주된 목적은 국가의 안전과 질서를 유지하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것입니다.

 

▣비상계엄의 발동 주체
- 정부: 비상계엄은 대통령이 발동할 수 있으며, 국회에 보고해야 하고 , 대통령은 국가의 안전을 위협하는 상황에서 비상계엄을 선언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

 

- 국회: 비상계엄이 발동되면 국회는 이를 승인해야 하며, 국회가 없을 경우에는 대통령이 단독으로 발동할 수 있습니다.


▣국회의   비상계엄해제  요구
- 정의: 국회가 비상계엄의 해제를 요구할 경우, 대통령은 이를 수용해야 합니다.

 

- 조건: 국회가 재적의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계엄의 해제를 요구하면, 대통령은 지체 없이 계엄을 해제해야 합니다 

 

▣비상계엄의 대처 방법
-법적 조치: 비상계엄이 발동되면 정부는 특별법에 따라 국민의 기본권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집회 및 시위의 제한, 언론의 통제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안전 유지: 정부는 경찰 및 군대를 동원하여 공공의 안전을 유지하고, 질서를 회복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 정보 제공: 정부는 국민에게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비상계엄의 필요성과 목적을 설명하여 국민의 이해를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비상계엄의 역사적 사례
- 1979년 10월 18일: 박정희 정부가 비상계엄을 선포한 사건으로, 이는 정치적 불안정과 사회적 혼란을 이유로 하였습니다.

 

- 1980년 5월: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비상계엄이 발동되었으며, 이로 인해 많은 인권 침해가 발생했습니다 5.


비상계엄은 국가의 안전을 위한 중요한 조치이지만, 그 시행 과정에서 국민의 기본권이 제한될 수 있으므로 신중하게 다루어져야 합니다. 
정부는 비상계엄을 발동할 때 그 필요성과 목적을 명확히 하고, 국민의 이해를 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금까지   윤석렬대통령의 비상계엄의 의미, 발동 주체, 비상계엄해제요구,대처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